본문 바로가기

일상/우리나라 대한민국

[공휴일] 개천절은 무슨날이지?! 태풍이 온다던데 “미탁” 상황은 어떻게 될까?

 


정의

우리 민족 최초 국가인 고조선 건국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국경일.

내용

10월 3일. 서기전 2333년(戊辰年), 즉 단군기원 원년 음력 10월 3일에 국조 단군이 최초의 민족국가인 단군조선을 건국했음을 기리는 뜻으로 제정되었다.

그러나 개천절은 ‘개천(開天)’의 본래의 뜻을 엄밀히 따질 때 단군조선의 건국일을 뜻한다기보다, 이 보다 124년을 소급하여 천신(天神)인 환인(桓因)의 뜻을 받아 환웅(桓雄)이 처음으로 하늘을 열고 태백산(백두산) 신단수 아래에 내려와 신시(神市)를 열어 홍익인간(弘益人間)·이화세계(理化世界)의 대업을 시작한 날인 상원 갑자년(上元甲子年: 서기전 2457년) 음력 10월 3일을 뜻한다고 보는 것이 더욱 타당성이 있다.

따라서 개천절은 민족국가의 건국을 경축하는 국가적 경축일인 동시에, 문화민족으로서의 새로운 탄생을 경축하며 하늘에 감사하는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적 명절이라 할 수 있다.

민족의 전통적 명절을 기리는 행사는 먼 옛날부터 제천행사를 통하여 거행되었으니, 고구려의 동맹(東盟), 부여의 영고(迎鼓), 예맥의 무천(舞天) 등의 행사는 물론이요, 마니산(摩尼山)의 제천단(祭天壇), 구월산의 삼성사(三聖祠), 평양의 숭령전(崇靈殿) 등에서 각각 행해진 제천행사에서 좋은 사례를 볼 수 있다.

그리고 특히 우리 민족은 10월을 상달[上月]이라 불러, 한 해 농사를 추수하고 햇곡식으로 제상을 차려 감사하고 경건한 마음으로 제천행사를 행하게 되는 10월을 가장 귀하게 여겼고, 3일의 3의 숫자를 길수(吉數)로 여겨 왔다는 사실은 개천절의 본래의 뜻을 보다 분명히 한다고 하겠다.

이러한 명절을 개천절이라 이름짓고 시작한 것은 대종교(大倧敎)에서 비롯한다. 즉, 1909년 1월 15일서울에서 나철(羅喆: 弘巖大宗師)을 중심으로 대종교가 중광(重光: 다시 敎門을 엶)되자, 개천절을 경축일로 제정하고 매년 행사를 거행하였다.

그리하여 일제강점기를 통하여, 개천절 행사는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특히 상해임시정부는 개천절을 국경일로 정하여 경하식을 행했고, 충칭(重慶) 등지에서도 대종교와 합동으로 경축행사를 거행하였다.

광복 후 대한민국에서는 이를 계승하여 개천절을 국경일로 정식 제정하고, 그때까지 경축식전에서 부르던 대종교의 「개천절 노래」를 현행의 노래로 바꾸었다.

개천절은 원래 음력 10월 3일이므로 대한민국 수립 후까지도 음력으로 지켜왔는데, 1949년에 문교부가 위촉한 ‘개천절 음·양력 환용(換用)심의회’의 심의결과 음·양력 환산이 불가능하다는 이유와 ‘10월 3일’이라는 기록이 소중하다는 의견에 따라, 1949년 10월 1일에 공포된「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의거, 음력 10월 3일을 양력 10월 3일로 바꾸어 거행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대종교에서 행하던 경하식은 국가적 행사에 맞추어 양력 10월 3일에 거행하고, 제천의식의 경우만은 전통적인 선례에 따라 음력 10월 3일 상오 6시에 행하고 있다.

이 날은 정부를 비롯하여 일반 관공서 및 공공단체에서 거행되는 경하식과 달리, 실제로 여러 단군숭모단체(檀君崇慕團體)들이 주체가 되어 마니산의 제천단, 태백산의 단군전, 그리고 사직단(社稷壇)의 백악전 등에서 경건한 제천의식을 올리고 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개천절 [開天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개천절 기념식 : 10월 3일 개천절 기념식을 하는 모습. 서울 종로구 사직동 단군성전.

​​개천절 태풍 '미탁' 韓관통…시속 160㎞ 강풍과 비 몰아친다



북상 중인 제18호 태풍 '미탁(MITAG)'이 2일 밤 제주도를 지나 개천절인 3일 새벽 전남 해안에 상륙할 전망이다.

태풍의 이동속도가 계속 달라지면서 한반도 상륙 예상 시간도 그에 따라 달라지고 있다.

기상청은 "제18호 태풍 미탁은 3일 새벽 중심기압 985헥토파스칼(㍱), 중심 최대풍속 초속 27m(시속 97㎞)의 강한 바람을 몰고 전남 지역에 상륙할 것"이라고 1일 밝혔다.

전남 남해안 쪽 상륙 가능성도



미탁은 1일 오전 3시 현재 중심기압 965㍱, 최대풍속 초속 37m(시속 133㎞)인 강도 '강'의 중형 태풍으로 발달해 타이완 타이베이 북동쪽 약 140㎞ 부근 해상에서 시속 24㎞로 북북서진 중이다.

현재 경로 상으로는 2일 밤 제주 서쪽 해상, 3일 새벽 전남 목포로 상륙해, 남부지방을 관통한 뒤 3일 낮 동해 상으로 빠져나갈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 정관영 예보정책과장은 지난달 30일 태풍 미탁에 관한 브리핑에서 "미탁은 따뜻한 바다에서 에너지를 흡수해 세력을 키웠고, 앞으로 북상하면서 수온이 내려가면 에너지가 조금씩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타이완 북단을 지난 태풍 미탁은 1일 밤 중국 상하이 부근을 스치면서 다소 약화할 전망이다.

정 과장은 "현재 우리나라 서쪽까지 뻗어있는 북태평양고기압의 세력변화와 상하이를 통과한 뒤 편서풍을 타는 시점·위치 등에 따라 태풍 이동경로가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태풍 미탁은 현재 일본 남동쪽에 위치한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진행하고 있다.
태풍이 전남 남해안 쪽으로 상륙할 수도 있고, 상륙 시간도 2일 밤으로 앞당겨질 가능성도 있다.


[출처: 중앙일보] 개천절 태풍 '미탁' 韓관통…시속 160㎞ 강풍과 비 몰아친다